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전장시스템 상태를 감지하는 항목 중 하나인 브레이크등 점등상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점등은 차량운행 중 급정지를 해야 할 때 뒤따라오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는 필수 요소이다. 브레이크등 점등 상태의 정상·비정상 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누르고 있으면서 차량 뒤편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등의 점등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다른 사람이 점등 여부를 알려주지 않는 한 운전 당사자가 직접 브레이크등 점등상태를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브레이크등 상태 감지 시스템은 브레이크 점등 상태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직접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브레이크등 점등상태 감지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 신호부, 정전압부 및 기준전압부, 비교·증폭부, 경고신호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시스템은 정상점등 되었을 경우 경고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정상점등 되지 않았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모든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저류층의 암체 산처리 공법(matrix acidizing)에서 최적 주입률 산출을 위해 산처리 코어유동실험 장치를 개발하고, 최적 주입률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염산의 농도와 암석의 투과도를 달 리하여 총 4 Case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암석의 투과도가 높을수록 최적 주입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 며, 산의 농도에 따른 최적 주입률은 모두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저류층의 투과도가 산의 농도보다 최적 주 입률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Case의 최적 주입률에서 무차원 돌파지수(pore volume to breakthrough)를 산출한 결과, 저류층의 투과도와 주입되는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웜홀을 생성하는데 소모되는 산의 양이 감소하여 암체 산처리 공법의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캐나다 몬트니 분지 중 쉐도우 지역의 저류층은 수평정 다층파쇄 공법의 적용을 통하여 2010년 이후 활발하 게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2015년 유가 하락으로 인하여 북쪽에서부터 남쪽으로 진행된 개발은 노르만드빌, 지록스빌, 켄지 지역까지 진행된 후 중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지역의 남쪽에 위치한 쉐도우 지역의 오일, 가스 개발을 위하여 지질학적 분석, 기술적 분석,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적으로 물-오일 경계보다 높고 몬트니 퇴적분지 경계 내에 위치한 지역은 연구 대상지역 북쪽의 켄지 몬트니 지역과 유사한 모델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근 생산정의 생산성, 운영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공당 수익율은 66.1%, 투자금 회수기간은 2년, 10% 할인율을 적용한 순현가는 32 백만불(CAD)로 평가되었다.
우리나라도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 신기후체제 하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아파트를 새로 건축할 때 신재생에너지 중 지열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부산 감 정동에 건설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지열냉난방시스템과 전기사용 에어컨과 도시가스 사용 보일러의 대안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하여 경제성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생애주기비용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열냉난방시스 템이 경제성을 갖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30년의 생애주기기간동안 지열냉난방시스템이 대안시스템보다 1,103,347 천원 적게 지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투자비용은 11년이 되면 회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바나듐(V)은 은회색의 전이금속으로, 철강 제조 시, 소량만 첨가하여도 강도가 높아지고 충격과 마모에 강해 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강도 합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의 저장장치에 적 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나듐 환원-산화 배터리의 주원료로서 해당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바 나듐은 현재 중국에서 저품위 무연탄 광석으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선별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대량의 광석 처리 가 가능한 자력선별 및 비중선별 등이 전처리 기술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광물의 표면특성을 이용하는 부유선별 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상당량의 바나듐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수요확대 가 예상되는 바나듐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하여 이와 같은 선별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단양 지질공원 지질명소 구담봉과 사인암을 구성하고 있는 화강암에 대한 저어콘 U-Pb 연령측정과 전암 지구화학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화강암은 단양군의 서부와 남부지역에서 산출하며, 영월층군과 태백층군의 퇴적암을 각각 관입하고 있다.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구담봉과 사인암 화강암의 저어콘 U-Pb 동위원소 성분은 각각 90.4±0.5Ma (tσ)와 90.0±1.5 Ma (tσ) 백악기 관입 연령을 정의한다. 두 화강암 시료의 지구화학 성분 분석 결과는 전형적인 A-타입 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불국사 조산운동 후기 또는 비조산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구담봉과 사임암 화강암 시료의 저어콘 연령과 지구화학적 특성은 기존 보고된 백악기 무암사 및 월악산 화강암체의 결과와 일치한다.
옥천변성대의 북서부에 위치하는 충주 어래산 지역은 주로 신원생대 계명산층과 이를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계명산층의 변성산성암의 방사능 값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전기 쥬라기 흑운모 화강암은 이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변성산성암을 중심으로 희토류 광물인 갈렴석의 성장과 관련된 미구조 연구를 수행하여 희토류 광화작용의 기원과 발생 시기를 고찰하였다. 변성산성암은 주로 알칼리장석(주로 미사장석), 석영, 철산화광물, 흑운모, 사장석, 각섬석, 갈렴석, 저어콘, 녹렴석, 형석, 인회석, 석류석, (사)유렴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갈렴석은 흑운모와의 접촉부에 방사선 손상에 의한 짙은 갈색 광륜을 형성시키기도 하고, 광역엽리를 따라 집합체로 산출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갈렴석(집합체)의 주변부에서는 광역엽리가 형성되기 이전에 이들이 성장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형그늘이나 광역엽리의 굴곡면은 관찰되지 않는다. 갈렴석 집합체에 포획된 철산화광물의 입자 크기와 방향성은 광역엽리를 따라 산출하는 기질부의 철산화광물과 동일하다. 후기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열수변질작용으로 각섬석의 흑운모화가 인지되고, 이차적으로 성장한 흑운모는 갈렴석, 저어콘, 녹렴석 등과 접촉 공생한다. 이러한 미구조로부터 희토류 광물인 갈렴석(집합체)은 주로 광역엽리가 형성된 이후에 화성암의 관입과 관련된 열수변질작용으로 성장하였으며, 충주 어래산 지역의 희토류 광화작용은 이 지역에 광범위하게 산출되는 전기 쥬라기 흑운모화강암의 관입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고찰된다.
소규모의 근린단위 재생사업과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특별법」)은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에 있어 주민의 역할과 참여의 당위성 등에 대한 법적 근거를 갖추고 있지 않다. 더욱이 2014년 시작되어 2016년 종료된 도시재생선도사업에 대한 성과는 평가조차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정책적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고 실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성과를 고찰하고 그에 따른 제도적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재생특별법」에 의거하여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선도사업의 모니터링 및 종합평가를 수행했으나, 정량적 평가에 그쳤다. 실수요자인 지역주민이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얼마나, 어떻게체감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를 좌우함에도불구하고 정성적 성과 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성과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이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정책적 효과를 고찰하고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 및 시장확대를 위한 정부정책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투입, 과정, 결과 및 환류로 구분된 13개 설문을 작성하고 128개 그린리모델링 사업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하는 IPA 결과,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이자지원비율 상향 등의 기존 금융혜택 확대 및 세분화, 데이터 정비와 백서 발간 등의 객관적 자료 정비, 관련 기초데이터 및 근거자료의 제공 등이 장기적 측면에서 그린리모델링 사업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직이착륙기(VTOL) 및 도심 항공 모빌리티와 같은 멀티로터형 비행체는 높은 기동성을 바탕으로 오늘날 널리 활용되고 있다. 멀티로터는 다수의 로터로 구성되어 후류 상호작용이 활발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멀티로터의 공기역학 및 공력음향학적 특성이 단일 로터와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 후류 격자 기법 해석자를 활용하여 멀티로터의 후류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비행체와 운용조건의 비교를 위하여, 제자리 비행에서 로터 간격에 따른 효과와 전진 비행에서 전진비 및 전진 방향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제자리 비행 시 후류 및 로터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비정상 하중이 발생하였으며, 로터 사이 간격이 줄어들수록 하중 변화폭이 증가하였다. 이는 비정상 하중 소음을 발생시키고 소음 지향성에 변화를 가져온다. 전진 비행 시, 비행 방향에 따라서 비정상 하중 및 소음 특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단일 로터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멀티로터의 각각의 로터는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하중 소음의 크기와 지향성이 다르다. 결론적으로 후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은 다양한 멀티로터 형상과 운용조건의 공력 및 공력소음 해석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개발 중인 소형 민수 헬리콥터(LCH)에 대해 유체-구조 연계 기법을 이용하여 로터 공력 및 구조 하중에 대한 고정밀 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LCH 로터는 일반적인 힌지형 로터와 달리 탄성체 베어링과 블레이드 상호 연계형 댐퍼 시스템을 탑재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동역학 해석을 위해 CAMRAD-II 모델을 구축하였다. 주 운용조건인 전진비 0.28 순항조건에서 단일 로터 모델과 로터-동체 모델에 대한 유체-구조 연계해석을 수행하여 동체 모델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동체 모델링이 로터의 하중 및 블레이드-와류 간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루트에서 발생한 와류가 동체 효과에 의해 꼬리 로터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양력선 이론 기반의 구조동역학 해석 결과는 유체-구조 연계해석 결과와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비정상 유동 예측 모델의 한계로 인해 공력 하중, 탄성 변위에 대한 peak-to-peak 크기를 낮게 예측하고 구조 진동 하중에서 주요한 위상 차이를 나타냈다.
본 논문은 이동표적에 대해서 고정형 탐색기(Strapdown Seeker)가 장착된 유도탄의 지향각 제한을 고려하여 충돌각(Impact Angle)을 제어하는 유도법칙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유도법칙은 슬라이딩 모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지향각과 항법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선각 정보와 발사 초기 표적 획득장비 등을 통해 제공 받는 표적 속도와 표적 이동경로각을 이용하여 가속도 명령을 생성한다. 제안한 슬라이딩 surface의 수렴을 통해 표적 요격과 충돌각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최대, 최소 지향각에서 지향각의 미분결과의 부호가 지향각의 부호와 반대가 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지향각 제한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로켓은 우주발사체와 동일한 기본원리를 가지는 가압식 액체추진제 로켓이다. 물로켓은 청소년용 과학교육 교보재 수준을 훨씬 넘어, 대학 수준의 액체 로켓 및 발사체 체계 공학 교육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로켓의 추진 및 비행 원리와 이론을 대학 학부의 로켓 공학 교육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아울러 발사체와 발사대, 탑재체, 회수 및 고도 장치와 방법 등 체계 수준의 물로켓 설계와 운영에 대한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MDO(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를 위한 서로 다른 모델 간의 결합은 계산 프레임 워크의 복잡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CPU 시간과 메모리 사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POD(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와 RBF(Radial Basis Function)를 사용하여 복합 샌드위치 구조가 항공기 날개 스킨 재료로 사용될 때 복합재와 샌드위치 코어의 두께를 결정하는 최적화 문제의 해를 구했다. POD와 RBF를 사용하여 날개 형상과 하중 데이터에 대한 대리 모델을 만들었으며 대리 모델에 의해 얻어진 목적 함수 및 제약 함수 값을 사용하여 최적해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leading pedestrian interval (LPI) 기법의 적용 효과를 산정하기 위하여, 미국 연방고속도로 관리국에서 개발된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과 미시교통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VISSIM을 이용하여 효과를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LPI 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LPI 기법의 효과를 산정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함에 있어 VISSIM 모형의 구성 요소인 횡단보도 링크와 커넥터를 중첩되게 설정하여야 현실감 있는 상충을 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형을 이용하여 산출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PI 적용 효과는 교통량과 보행량의 수준과 관계없이 현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LPI 지속시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통과 안전측면에서 최소 5초 이상으로, 안전측면에서는 7초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의 주요 교차로 중 LPI기법 적용이 가능한 교차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차로의 기하구조 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92.8% 이상 상충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교통선진국을 중심으로 MaaS (mobility as a service)라는 공유교통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통패러다임이 시도되고 있다. MaaS의 초기형태는 통행의 기종점과 대중교통 결절점을 연계하는 출발 접근(First-mile mobility, FMM)과 도착 접근(Last-mile mobility, LMM) 서비스로써 공공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와 같은 스마트 모빌리티들이 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한 서비스는 거치대에 의존하지 않는 비고정형 거치대(dockless)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지만 서비스 사업자들은 서비스 권역의 정의방식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구배와 스마트 모빌리티 수단의 최대 등판능력을 비교하고 대상지역과 도로 네트워크 및 기존 서비스 권역과의 관계를 통해 공공의 편익이 최대가 되는 새로운 출발 접근(FMM)과 도착 접근(LMM) 서비스 권역을 정의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이 방식을 적용한 결과, 해운대구 인구의 94.6%가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결절점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해운대구 382개의 관광관련 지점을 서비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의 냉난방을 위한 히트펌프용 전동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가스 인젝션을 적용할 경우, 라인형 인젝션 스크롤 모델에서, (1) 인젝션 최대 압력은 압축기가 수용할 수 있는 인젝션 유량과 플래시 탱크에서 생성하는 가스량이 같아지는 압력에서 결정되며, (2) 난방 기본 운전 조건( = 2/18 bar)에서 인젝션 최대 압력은 = 5.2 bar이고, 인젝션으로 인해 난방 능력은 31.2%, 압축기 소요동력은 20.5%, 그리고 COP는 8.93% 증가한다.
(3) 인젝션 효과는 증발기 온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응축기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 인젝션을 수행한 운전 조건들 가운데서 난방능력 향상 최대 효과는 #3 조건( = -26.4℃, = 62.89℃)에서 40.2%로, 냉방능력 최대 향상은 #11 조건( = 8.93℃, = 71.73℃)에서 34.2%로 나타났다.
- COP 향상이 최대가 되는 운전조건 #3에서는 COP가 1.50에서 1.81로 20.6%의 증가를 보였다. 증발기 온도가 높고 응축기 온도가 낮은 영역인 운전 조건 #8, #12~#14에서는 COP가 오히려 감소한다.
- 인젝션으로 인한 압축기 토출 온도 감소는 응축기 온도가 높은 운전 조건들에서는 15℃~10℃ 정도이며, 이러한 효과는 응축기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한다. 인젝션을 통해 압축기 토출 온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압축기 운전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4) 인젝션 체임버와 압축실 인젝션 홀을 연결하는 인젝션 라인이 짧도록 설계한 체임버형 인젝션 모델은 구조적으로는 복잡해지지만 인젝션으로 인한 난방 및 냉방 효과를 1~7%P 정도 더 얻을 수 있으며, COP도 0.01~0.12(0.4~6.6%P) 정도 더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100 kW급 가스엔진 열병합 시스템에 연계된 축열조에서 축열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간적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상수를 구하고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병합 시스템에 포함된 두 축열조의 시상수는 AC1의 경우 4시간 20분, AC2는 3시간 05분으로 측정되어 열부하가 없을 때 약 8시간 동안 축열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7개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시상수를 분석해 보면 상부로부터 축열이 이루어질 때 측정 위치별 축열 시간 간격은 AC1에서는 30분, AC2에서는 35~40분으로 거의 균일하게 나타나 선형적으로 축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축열은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나 전도 열전달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여 예측한 시상수는 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여 대류 열전달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4) 대류 열전달 해석을 자연대류와 강제대류에 대해 각각 분석한 결과 축열조 내에서는 자연대류가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기술논문에서는 미세먼지 대응 관련제품에 대한 원리, 종류 및 성능기준 등의 최소한의 필수정보를 조사하였다. 실내외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 및 유입경로와 대응 제품의 분석을 통하여 미세먼지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 및 토의사항은 같다.
(1) 소비자입장에서 시중에는 다양한 미세먼지 대응 제품들이 판매되어 어떤 제품을 어떻게 선택해야하는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각 제품들이 갖는 용도와 성능을 정확하게 알고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마스크, 환기유닛, 차단망, 공기청정기 및 필터 등 미세먼지 관련 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제품에 대한 정확한 성능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2) 관련 전문가입장에서는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필터소재 성능평가와 적용되는 생활보호제품의 현장 실증 및 적정 설계기준 확립하고 사용조건, 환경(온도, 습도, 고분진, 진동 등)에 최적화된 필터소재 적용이 필요하다.
(3) 아직 명확한 정의와 기준이 없는 신규 미세먼지 생활환경보호제품에 대한 성능인증 평가 표준화, 연계된 제품 및 소재의 설계기준의 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4) ANSI/ASHRAE 52.2는 필터 및 전기집진기를 포함한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성능지표로 MERV index제시함에 있어 명확한 시험방법, 장비 등을 제시하고 있다. KS의 경우 형식에 따른 시험방법, 결과표현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 국외 주요시험규격과 비교하여 시험방법, 통계기반결과분석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국외 시험규격에 부합하는 국내 에어필터 시험방법 개정 연구가 요구된다.
(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다중이용시설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공기오염물질의 여과․제거하는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성능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우선적으로 병원,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등과 같은 민간시설에 대해서 공기정화장치의 최소기준을 제시가 필요하다.
미세먼지 관련 제품 및 에어필터의 수요에 비해서 국내의 성능기준은 국제기준의 변화에 다소 뒤쳐져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며 소비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성능기준에 대한 신뢰성 확보도 큰 과제로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악성코드가 급증하여 기계 학습 기반의 자동 탐지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악성코드 실행파일로부터 추출되는 opcode 시퀀스는 악성코드 탐지에 좋은 특징이기 때문에 바이트 기반의 n-그램 처리 기법을 거쳐 기계 학습의 입력 데이터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리 속도와 저장 공간 측면에서 기존 n-그램 방식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본 블록 단위의 딥러닝 입력 데이터 가공 기법인 V-그램을 새롭게 제안한다. V-그램은 opcode 시퀀스로부터 의미 없는 입력 데이터의 불필요한 생성을 막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64,000개 이상의 실제 정상 및 악성코드 파일을 수집하여 진행한 실험을 통해서, V- 그램이 처리 속도와 저장 공간, 그리고 탐지 정확도 측면에서 모두 기존의 n-그램 기법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모션캡처 기반 방법과 물리 기반 방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방법은 적은 양의 보행동작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방향전환을 포함하는 자연스러운 보행동작을 생성한다. 하이브리드 방법은 제한된 데이터로 더 많은 보행동작을 생성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록된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므로 동작이 유사한 보행동작만 수행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이러한 단점은 캐릭터가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막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기록된 데이터의 변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보행동작을 생성하는 법을 제안한다. 학습단계에서는 모션캡처에 기록된 걷기, 달리기 데이터를 통해 보행과 관련된 변수들을 생성하고, 합성단계에서는 이 변수를 수정함으로써 새로운 동작인 옆걸음, 뒷걸음을 생성한다. 새로운 보행동작은 기존의 보행동작으로 수행 할 수 없는 경로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수행 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온라인 정보제공은 신속한 정보전달과 새로운 여론 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정보제공 시스템의 증가는 가짜 뉴스, 무차별한 사생활 유포, 온라인 따돌림 등의 악영향도 동시에 발생시켰다. 온라인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순기능을 확산하고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공 정보의 초기 상태 분석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반응 상태 분석을 위한 4가지 기준을 새롭게 제시하고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정보 초기 상태 분석 개념을 디자인하고 국내 정보제공 시스템의 자료를 실제로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초기 상태 분석을 성공적으로 검증하였다.
구문 분석은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며 구조적 중의성을 해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어는 어순 배열의 자유도가 높고 문장 성분의 생략이 빈번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의존 구문 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스택-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은 의존 구문 파서에 맞게 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을 확장한 것이다. 스택-포인터 네트워크는 각 단어에서 의존소를 찾는 하향식 방식의 모델로 기존 모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각 단계에서 이미 파생된 트리 정보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택-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을 한국어에 맞게 적용해보고 이와 함께 고차원 정보를 이용해서 트리 정보에 반영해본다. 모델의 실험 결과는 고차원 정보로 형제 노드를 반영하였을 때 UAS 92.63%의 정확도를 얻었다.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소셜 로봇 분야는 로봇의 행동이나 표정, 비언어적 감정 표현과 같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연구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대화하고 교감하는 소셜 로봇을 대상으로 로봇의 자기의식 표현이 호감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로봇의 공적/사적 자기인식 표현 방식과 외형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사회적 매력의 변화를 측정해 사회적인 환경 속에서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보았다. 실험 결과 로봇의 자기의식 표현은 로봇에 대한 호감도를 상승시키는 결과로 이어졌지만, 표현 방식과 외형에 따라 유의하게 다른 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로봇의 시각적/기능적 측면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로봇의 매력을 높이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향후 소셜 로봇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도 사용자의 호감을 이끌어내는 상호작용 전략의 구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계 번역 연구는 하나의 언어로 된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자동 변환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기계 번역 연구는 번역을 위해 오직 텍스트 데이터만 사용하였다. 따라서 기존 기계 번역 연구는 입력 텍스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텍스트 데이터만 사용하는 기존 기계 번역과 달리 입력 텍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기계 번역 시스템의 추가 입력으로 사용하는 멀티모달 기계 번역 모델이 등장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 동향에 맞추어 기계 번역의 디코딩 타임에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고 이를 영어-한국어 자동 번역에 적용한다. 또한 디코딩 타임에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게이트를 적용한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게이트를 적용하지 않은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그래프는 실세계의 객체 간 관계를 모델링 할 수 있으며, 관계들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하이퍼그래프는 그래프의 일반화된 모델로서 하나의 하이퍼에지가 2개 이상의 객체가 참여하는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하이퍼그래프에서 질의 그래프와 동형인 서브그래프를 검색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동형 서브그래프 검색의 높은 계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 연구들에서는 각 질의노드 에 대해 정답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을 선택하고, 후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서브그래프와 질의 그래프의 동형성을 검증하여 정답을 반환한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질의 그래프를 여러 개의 서브그래프로 분해하여 제안하는 구조 인덱스로 각 서브그래프의 후보를 찾고, 제안하는 검색 알고리즘으로 서브그래프 동형성을 검증한다. 실제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에서 제안 연구는 기존 연구 대비 검색 응답 속도 측면에서 최소 10배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장의 성장에 따라 독립적으로 개발된 플랫폼 간의 원활한 연결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서비스를 탐색하고, 디바이스를 구성하면서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 구성(Auto-configuration)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완전 자율 시스템(Fully Autonomous Systems)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자동 구성을 넘어서 기계가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사물 간 자율적 인터랙션 수행이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적용하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컨텍스트 인지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상태 및 사용자 정의 룰을 인지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사물 간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실제 환경에서 구현한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급증하는 데이터 사용량에 대비하고 신규 응용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통신이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5 세대 NR (New Radio) 표준을 기반으로 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밀리미터파 통신에서는 고주파 채널의 특성상 낮은 주파수 대역에 비해 큰 경로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안테나를 활용한 고지향성 빔포밍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다중 사용자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을 고려하고 이를 위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프리코딩을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프리코딩은 구현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아날로그 프리코딩과 사용자간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프리코딩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프리코딩은 간단한 선형 프리코딩인 ZF (Zero-Forcing), 더 높은 성능을 위한 비선형 프리코딩인 THP (Tomlinson-Harashima Precoding), 전체 스펙트럼 효율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전력 할당 기반 프리코딩 기법이 적용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이 스펙트럼 효율 측면에서 기존 기법보다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eV2X (enhanced Vehicle-to-Everything)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V2X 서비스의 요구 사항은 기존 V2X 대비,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이 수십 Mbps에서 최대 1000Mbps에 이르기까지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수 내지 수십 ms 이내의 시간 지연 내에서 매우 낮은 오류 확률로 통신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eV2X의 요구 사항인 저지연, 고신뢰성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만족하기 위해 NR (New Radio) 기술 중 LDPC (Low-Density Parity-Check) 코드 및 256 QAM을 적용한다. 또한, 송신 다이버시티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 sTTI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통해 지연시간을 낮추는 차량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시스템이 높은 신뢰성, 데이터 전송률 및 짧은 지연시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밸브바디의 부품 조립 작업을 돕고 조립 실수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증강현실 안드로이드-앱을 개발하고 시험을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조립할 부품의 모양, 조립 위치, 순서 및 조립 상황들을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들을 생성하고 스마트폰 화면의 밸브바디 영상 위에 투영시켜 작업자에게 보여준다. 컨텐츠들을 밸브바디의 정해진 위치에 투영하기 위해, 뷰포리아-툴을 이용하여 밸브바디의 2차원 이미지에 대한 특징 데이터 셑을 추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실시간 밸브바디의 포즈를 알아낸다. 일반 카메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2차원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서, 3차원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절차와 시간이 줄어들고 밸브바디와 같은 비교적 평평한 면을 갖는 물체의 트래킹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밸브바디의 정해진 위치에 순서에 따라 부품이 조립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품의 일부에 특정한 색을 칠한 후, 영상처리를 통해 부품이 조립될 영역의 색을 주기적으로 판별하여 부품의 조립 여부를 판단한다.